생선회
거제의 푸른바다를 닮은 싱싱한 생선회
거제하면 떠오르는 것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푸른바다 그리고 싱싱한 회한접시가 떠올려 질 것이다. 그만큼 거제의 푸른 청정해역에서 나는 생선의 싱싱함을 가장 맛볼 수 있는게 생선회 일 것이다.
지금은 어느 지역을 가던지 생선회를 맛볼 수 있지만 거제의 푸른바다에서 갓 잡은 싱싱한 생선을 두툼하게 썰어 새콤함 김치와 함께 먹는 맛은 회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이 감칠맛은 잊지 못할 것이다.
또한 아름다운 바다를 바라보며 먹는 싱싱하고 푸짐한 해산물은 덤으로 안겨 주는 거제의 선물이다.
알고 먹으면 더욱 맛있는 생선회
거제도에서는 4계절 싱싱한 생선회를 어디에서든 맛볼 수 있다 하지만 생선회에도 그 최고의 맛을 맛볼 수 있는 시기가 있다 다음은
속담으로 알아본 생선의 제철 맛이다.
- 정월은 도미를 최고로 친다.
낚시광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미는 생선 중 귀족이다.
‘5월 도미는 소껍질 씹는 맛보다 못하다’, ‘2월 가자미 놀던 뻘 맛이 정월 도미 맛보다 났다’는 등 다른 생선의 맛과 비교할 때 인용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.
- 2, 3월엔 가자미(도다리)다.
가자미는 회무침이 일품이다.
남해안으로 3월쯤 방문하는 기회가 있으면 꼭 가자미 무침회를 맛보길 권한다. ‘가자미 놀던 뻘 맛이 도미맛보다 좋다’니 그럼 진짜 가자미 맛은 얼마나 맛있는 지 짐작할 만하다.
- 4월은 삼치다.
‘4월 삼치 한 배만 건지면 평양감사도 조카 같다’는 속담은 삼치 맛이 좋아 높은 가격에 팔렸으며 어획량이 많으면 한밑천 톡톡히 건지는 생선이었음을 말해준다. 삼치는 회로 먹어도 부드럽고 구워먹어도 맛이 뛰어난 최고의 생선 중 하나다.
- 5월은 농어다.
역시 얼마나 인기가 좋았으면 ‘보리타작한 농촌 총각 농어 한 뭇(보통 10마리 묶음) 잡은 섬처녀만 못하다’는 속담이 전해지고 있다.
- 6월은 숭어다.
‘태산보다 높은 보릿고개에도 숭어비늘국 한사발 마시면 정승보고 이놈 한다’고 맛과 포만감을 표현했다. 숭어는 계절별로 자라는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는데 찬바람이 불기
시작하는 11월의 숭어(모찌)도 일품이다.
- 7월은 장어다.
‘숙주에 고사리 넣은 장어국 먹고나면 다른 것은 맹물에 조약돌 삶은 국맛 난다’고 표현했다.
‘특히 여름철 장어탕, 장어매운탕 등은 맛 뿐만아니라 보양음식으로도 으뜸으로 쳐준다.
- 9월은 전어다.
‘전어 한마리가 햅쌀밥 열그릇 죽인다’ ‘전어 머리속에 깨가 서말’ ‘전어굽는 냄새에 집나간 며느리 돌아온다’ 등 전어와 관련된 속담은 한두개가 아니다. 전어는 남해안 일대와 서해안 여러곳에서도 다량으로 잡히는 생선이나 거제의 전어 또한 살이 오르고 지방질이 풍부하여 달콤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.
- 10월은 갈치다.
‘10월 갈치는 돼지 삼겹살보다 낫고 은빛 비늘은 황소값보다 높다’는 속담은 생선을 육고기와 비교한 게 독특하다. 제주 은갈치와 목포 먹갈치가 유명한데 종류가 다른 게 아니고 낚시로 잡은 게 은갈치고 그물로 잡은 게 먹갈치며 회는 은갈치로만 뜬다.
- 11월과 12월은 모든 생선이 다 맛있는 계절로 가려먹을 것이 없다는 뜻에서 특별한 생선을 지목하지 않고 있지만 거제에서는 대구,
물메기와 같은 생선이 유명하다
가을(9~11월)엔 전어회·뼈꼬시 생선회·갈치찜, 겨울(12~2월)엔 굴구이·아귀찜이 제맛이다.